본문 바로가기
  • 조금 느려도, 꾸준히
반응형

Spring2

[spring boot / kotlin] kotlin으로 JPA entity 작성하기 Spring boot 프레임워크에서는 @Entiy 어노테이션을 사용해서 어플리케이션의 엔티티 객체와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을 매핑해 객체지향적으로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다. JPA 엔티티를 매핑하는 것은 기본적인 작업이지만 어플리케이션 개발의 객체지향적 관점과 데이터베이스의 관계지향적 관점을 조율하는 것은 고려해야 할 사항이 많고 비즈니스와도 밀접한 관련이 있어 아주 중요한 작업이다. 따라서 단순히 JPA 엔티티를 데이터베이스 테이블과 매핑하는 것을 넘어서 엔티티 설계를 잘 해야 한다. 이번 글에서는 위에서 언급한 설계의 레벨은 제외하고 kotlin으로 JPA엔티티를 매핑하는 과정에서 어떻게 엔티티 클래스를 작성해야 할 지 고민했던 과정을 적으려고 한다. Java 언어를 사용한 엔티티 작성 예.. 2021. 11. 21.
[Spring boot / kotlin dsl] kotlin Querydsl 초기설정 이번에 회사에서 신규 프로젝트를 kotlin 과 spring boot 를 사용해서 개발하기로 했다. kotlin, spring boot 둘 다 처음 접해보기 때문에 기본 개념과 동작 원리부터 공부를 하고 있다. 그러나 공부와 별개로 프로젝트 진행은 되어야 하기 때문에 어제부터 동료 개발자 분과 초기 프로젝트 세팅을 진행했다. 기술스택은 kotlin, spring boot 2.3.5, JPA + querydsl, liquibase, Gradle + kotlin dsl 로 정해졌다. 따라서 동료 개발자분은 spring security 부분을, 나는 jpa + querydsl 을 초기 설정하였다. 그러나 kotlin dsl 기반의 gradle을 이용해서 querydsl 을 설정하는 방법에 대한 문서가 많이 없.. 2021. 11. 16.
반응형